로버트 와이쓰(Rebert Weiss)가 쓴 ‘고독한 사회악’을 보면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고독함을 느낄 때가 이웃과의 만남이 단절되었을 때라고 했다. 조직적인 삶을 영유하는 인간은 만남을 시작으로 행ㆍ불행의 맛을 음미하면서 인생을 엮어간다.

이 같은 관계를 역설한 사람 중 ‘마틴부버’는 그의 저서인 ‘나와 너’에서 인간관계는 나와 너(I and You)의 관계가 아니면 나와 그것(물질)(I and it)의 관계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소중한 만남을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며 맞이해야만 할까?

앞서 언급했듯 인간은 만남으로부터 삶이 시작된다. 어머니를 시작으로 가족, 동네친구들을 비롯한 학교친구, 사회친구, 그리고 이성간의 만남, 더불어 또 다른 환경과 만나게 되고 각기 다른 사람을 만나며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평생 동안 어떤 이는 행복을, 어떤 이는 불행을, 또 어떤 이는 기쁨과 슬픔을 만나 눈물을 흘려야만 하는 경우가 생긴다. 똑같은 세상에서 살아도 누구인가의 만남으로 인해 자신의 운명이 바뀌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인간이란 구조적으로 시시각각 타인의 만남을 통해 살아 갈 수밖에 없는 문명을 지니고 있는 동물이다. 그런 연유에서 환경과 사람을 잘 만나게 되면 축복을 받은 자가 될 수 있지만 잘못된 만남의 관계가 될 경우에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환난과 시련의 고통을 당하는 불행한자가 될 수밖에 없다.

지금 이 순간에도 축복된 만남으로 행복감에 젖어 웃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잘못된 만남으로 자신에게 다가온 불행과 실패로 인한 슬픔에 빠져 울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내 자신의 의지 보다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 자신의 행복과 불행이 선택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좋은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곧 복이다. 좋은 만남은 인격적인 만남이다. 그런 좋은 만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 만남의 시간이 즐거워야 하고 또 자기를 던져 남에게 베푸는 삶이 되어야 한다. 우리들의 마음은 모든 것을 다 퍼내도 줄지 않고 또 모든 것을 다 담아도 절대로 넘치지 않는다.

성경에도 좋은 만남을 통해 축복 받은 자들이 많이 있다. 재력은 있으나 유대백성들에게 왕따를 당하며 사기꾼, 매국노라고 욕을 먹던 세리장 삭게오는 예수를 만남으로서 참 사랑을 알게 되고 베풂의 즐거움도 알게 되면서 평안한 새 삶을 찾을 수가 있었다. 또한 간음한 여인이 바리새인들에게 잡혀와 영(靈)과 육(肉)이 완전히 멸망당하는 찰라 예수를 만나면서 죄에서 해방되고 영혼까지도 구원받는 축복을 받게 된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최근 정치인들의 행태를 지켜보면서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이 들면서 분노가 치솟는 감정을 억제할 수가 없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한 예로 부산저축은행 피해자들은 속이 새카맣게 타들어 가는데도 저축은행 조사특위까지 구성하고 부산을 앞다퉈 드나들던 여야 의원들이 자신들의 실리를 찾기 위해 쌍방 증인채택을 요구하며 늦장을 부리고 있다.

권력이 얼마나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치욕스러울 정도의 추태까지 보여 가며 저토록 자리에 연연하고 싶을까하는 연민의 정(情)마저 느끼게 한다.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책보다는 자신들의 계보에 의해 상대를 헐뜯고 비방하는 모습은 비극이 아닐 수 없을 뿐더러 잘못된 만남이 아닐 수 없다. 그 잘못된 만남으로 인해 국민들도 불행해지는 것이다.

유행가 가사에도 있듯 우리의 만남은 우연이 아니다. 만남이 있으면 반드시 헤어짐도 있는 것이 인지상정(人之常情)인 것이다. 따라서 그렇게 살다보면 어디에선가는 또 다시 만나 해후를 하게 된다.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이 있기도 하지만 우리의 만남이 원수의 만남처럼 되어서는 안되지 않겠는가.

오랜 세월, 언론에 종사하다보니 각 기관이나 부처에서 만났던 사람들을 우연하게 만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럴 경우 얼마나 반가운지 모른다. 특히나 그들이 먼저 아는 체를 할 때는 삶의 보람을 느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좋은 관계가 아니면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더구나 현직 차관이 차를 타고 가다 길에 서있는 나를 보고 경적을 울리며 창문을 열고 ‘안 국장님’ 하면서 아는 체를 할 땐 정말 세상을 헛살지는 않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며 인간관계를 잘 한 것 같아 기분이 좋아진다.

20여년 기자 생활을 하면서도 난 만나는 사람들을 고객으로 여기고 함부로 대하지 않았다. 권위와 교만함이 대단한 것 같아도 알고 보면 대단히 추한 것이다. 아울러 겸손과 낮춤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알고 보면 이 또한 대단히 아름답고 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나’ 와의 만남으로 모두가 기뻐하고 함께 하며 없을 때는 그리워하는 자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 만남의 우리가 되어야 한다. 좋은 만남으로 사랑의 열매가 주렁주렁 열리는 밝은 이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 이 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