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설거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사람이다. 거사(居士)란 재가(在家) 불자로서 득도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부설거사는 인도의 유마거사, 중국의 방 거사와 함께 세계 3대 거사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그 부설 거사가 스님으로 있을 때의 일화다. 하루는 영희, 영조 두 스님과 함께 오대산으로 가던 중 김제 만경 땅 한 민가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그 집에는 묘화라는 벙어리 딸이 있었는데 그만 이 딸이 부설스님을 보고는 한 눈에 반하고 말았다.

다음 날 부설 스님이 막 떠나려고 하는데 묘화가 스님의 옷소매를 부여잡고 매달렸다. 그 순간 막혔던 말문이 트이자 묘화의 부모는 부설 스님에게 사위가 되어 줄 것을 간청한다. 이에 부설 스님은 오대산 수도를 포기하고 묘화와 속세의 인연을 맺게 된다. 부설 스님이 부설거사로 된 것이다.

그 후 15년의 세월이 흘러 영희, 영조 스님이 다시 만경 땅을 지나면서 부설 거사를 찾았다. 이 때 부설거사에게는 등운, 월명이라는 남매가 있었다. 이들을 본 두 스님이 비아냥거리는 말을 했다. “우리 둘은 지금 공부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이라네 그런데 그대는 속세(俗世)의 정(情)에 끌려 이렇게 속인(俗人)이 되었으니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네”

이에 부설거사가 말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누가 더 공부를 많이 했는지 우리 시험을 해보겠는가?” 부설거사는 즉시 병 세 개에 물을 가득 담아 천장에 나란히 매달아 놓고 그것을 망치로 하나씩 치도록 했다. 먼저 두 스님이 물병을 치자 물병이 깨지며 물이 쏟아져 내렸다. 그러나 부설거사가 친 물병의 물은 쏟아지지 않았다. 물병은 깨어졌으되 병 속의 물은 그대로 천장에 매달려 있었던 것이다. 이 광경을 지켜본 영희, 영조 스님은 부설거사 앞에서 무릎을 끓고 가르침을 청했다고 했다. 이에 부설거사는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었다.

‘머물러 보는 바 없어 분별심이 없고/ 이끌려 듣는 바 없으니 시비가림 또한 없다네/ 분별심, 시비심, 모두 놓아 버리고 오로지 내 마음 부처님께 스스로 귀의 했다네’

이를 풀이하자면 즉 가정을 꾸리고 살림은 하고 있으나 어떠한 인연에도 머무는 바가 없으며 어떠한 경계에도 시비를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 모든 것을 오로지 자성(自性) 부처님께 놓고 갈 뿐이라는 것이다.

흔히들 중생들은 수행이라고 하면 절에 가서 삼천배 하고 염불하고 참선하는 것만이 다 인줄 알고 있다. 또한 수행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목욕재계하고, 비린 것 먹지 말고, 심지어는 부부간에 잠자리도 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일하는 것, 먹는 것, 사랑하는 것 이들 모두가 어찌 보면 다 수행이 아닌가. 부설거사와 같이 머무는 마음, 시비하는 마음이 없다면 가정을 이루고 살아가는 것 또한 수행이 아니겠는가. 이 사람, 저 사람 만나는 것도, 먹고 마시는 것 또한 넓은 의미에선 수행의 과정일수도 있다.

어느 큰 스님의 말씀이다. ‘우리는 수행하기 위해 태어났고 수행하기 위해 살고 있다. 따라서 하루 24시간의 모든 활동, 즉 아침에 잠에서 깨어나 다시 잠들기 전까지 세수하고, 먹고, 사람을 만나고, 말하고, 움직이는 모든 행위 자체가 다 수행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진정으로 나 자신에 귀의하고 나 자신을 회복하는 길’ 이라고 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간혹 생활은 뒷전이고 오직 삼천배 하러 절에 쫓아다니고 염불한답시고 쫓아다니며 거액의 연등을 시주하는 중생들도 많다.

절하고 염불하면서 염주를 돌리는 것으로 속죄를 하면서 수행을 하는 것으로 착각을 하는 잘못된 사람들이 많다. 내면(內面)의 염주는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우리가 생활하면서 한 발 딛고 한 발 들을 때마다 돌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불자는 아니지만 감히 삼라만상의 세상에서 승(僧)과 속(俗)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재가(在家)와 출가(出家)가 다르지 않다는 것은 생활이 곧 진리이자 삼천배이고 염불이며 참선인 까닭이다. 부설거사의 가르침도 바로 여기에 있으니 지금 이 자리가 곧 수행 처임을 알고 맞닥뜨린 속세의 모든 인연 경계가 수행거리임을 알아야 하겠다.

모든 종교가 다 그렇겠지만 이제 며칠만 있으면 사대성인으로 꼽히는 석가탄신일이 돌아온다. 모든 중생, 불자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되 그 분의 참뜻을 깨닫고 외형적으로 보이는 수행이 아니라 진정한 내면의 수행의 마음으로 정진하며 이 세상을 밝고 아름다운 세상, 낙원의 세상을 이루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 이 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