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약제비 억제 정책으로 인해 국내 제약사들이 갈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리베이트 처벌강화, 쌍벌죄 이후에 제약사들은 정부가 국내 제약산업을 죽이려고 한다는 말을 쏟아내고 있다.

상위 제약사들은 약제비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하위 제약사다. 특화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하위 제약사들은 정부의 강력한 약제비 억제 정책으로 인해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정부의 약제비 억제정책은 이미 예고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약사들은 그동안 해오던 방식으로 영업을 하게 되면 충분히 먹고 살수 있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일관해왔다.

막상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표출되자 방향을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 제약사를 대표하는 한국제약협회도 마찬가지다. 정부를 상대로 죽는다는 말만 했을 뿐 국내 제약사들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방향타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하위 제약사들이 향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정답은 멀지 않은 곳에 있다. 하위 제약사가 신약을 개발하기는 요원한 일이다. 개발능력도 자금력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 해답은 뭘까. 바로 전문화다. 국내 중소제약사 중에도 특화된 분야에 강점을 지니고 있는 곳이 있다. 안과질환, 중추신경계분야 등 자신만의 특화된 영역을 개척한 곳은 제약산업의 환경이 악화되는 과정에서도 생존을 위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중소제약사들이 향후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이것밖에 없다.

한독약품이 제네릭 산업 진출을 선언하고도 시장에 제품을 내놓기까지는 많은 시일이 소요됐다. 제네릭 진출 선언 이후 한독약품이 고민한 것은 과연 어느 분야에서 특화된 영역을 확보할 것인지였다. 한독약품은 향후 시장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중추신경계(CNS) 분야를 특화시킨다는 전략을 내놓은 상태이다. 제품구성도 모두 CNS 분야다.

돈이 되는 분야라면 무조건 뛰어들고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장점이 무엇인지 먼저 파악한 후 특화된 전략을 펼쳐야 중소제약사들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