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물질 상품화에 다기관 공동연구 유도해야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발굴한 항암 후보물질 등에 대한 전임상, 제1상, 제2상의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비 지원이 열악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립암센터(원장 유근영)가 최근 개최한 ‘항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B&D 사업 워크숍’에서는 항암신약개발 분야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항암후보물질의 동물실험(전임상), 독성․약역학(제1상)과 약효(제2상) 평가 등 국가주도의 대폭적인 연구비 투자가 절실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참석자들은 항암제 개발을 위해선 대학과 연구기관의 과학자 뿐만 아니라 상업화 가능성 및 투자 여부를 검토할 수 있는 제약회사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주관기관이 필요하며, 암환자를 직접 치료하고 임상연구를 수행하는 시설 등이 구비돼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 했다.

실제로 지난 30년간 국내 항암제 개발 분야 특허등록은 총 937건으로, 이 중 3건이 항암제로 개발․판매돼 약 0.3%의 제품화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진수 연구소장은 “성공적인 항암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국가주도의 B&D 사업이 절실히 요구된다”면서 “다기관공동연구 등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같은 공공연구기관이 연구개발사업을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근영 원장도 “우리 국민의 사망원인 1위인 암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매년 14조원에 달하고 있으며, 약제비로만 1300억 원이 지출되고 있다”면서 “항암치료제 후보물질 특허 건수가 937건이 되는 등 국내 역량이 확보됐지만, 다음 단계인 전임상 단계로 넘어가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