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종의 마케팅 비용이 점점 늘어나면서 기업들마다 비용대비 투자수익올리기에 고심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한 컨설팅사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02년 소비재 산업의 광고, 중간상 판촉, 고객 판촉 등 마케팅 관련 비용이 전체 매출액의 약 25%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년 전에 비해 약 10% 정도 늘어난 수치라고 한다.

제약기업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해마다 마케팅 비용이 크게 늘어있다.
이는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듦에 따라 시장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업종의 마케팅비용 증가는 환경적 변화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인터넷의 확산이 대표적이다. 인터넷을 매개로 한 마케팅이 확산되면서 상대적으로 비용증가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간 제약영업은 오프라인상에서의 만남이 주류를 이었으나 최근 인터넷 마케팅으로 무대가 옮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더욱 빨라진 전파력에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 및 불만 제거 활동을 적극 전개하게 되고, 이에 따른 추가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또 최근 들어 의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 개념의 '닥터 마케팅'이 등장했다.
다국적제약사를 중심으로 소규모 세미나, 학회·학술활동 지원 등이 늘어났다. 당연히 고객에게 새로운 자극을 주기 위해 마케팅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기업은 마케팅 비용을 단순히 제품을 팔기 위한 비용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연구개발(R&D) 이나 생산 공정에 투자되는 비용처럼 기업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주먹구구식으로 A 브랜드에 얼마, B 브랜드에 얼마 하는 식으로 배분하는 것은 공정성도 떨어질 뿐더러 내부 논쟁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

불경기와 함께 실적이 둔화되면 기업은 매출 목표를 다시 조정하고,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인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생산 부서는 최저 원가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비용 절감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 외 스태프 부서는 비용 절감 효과가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결국 마케팅과 R&D 부서의 비용이 제일 많이 줄어들게 마련이다.

하지만 무턱대고 지출을 줄이는 것은 금물.

제약업계 관계자는 "불황기라고 해서 일방적으로 마케팅 비용을 줄일 수 는 없다"며 "경쟁 기업이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브랜드파워 비용을 줄일때가 오히려 투자하기 좋은 싯점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물론 기업은 불황기에 당연히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현명한 기업이라면 무엇을 줄일 수 있는 가에 골몰하기보다는 무엇을 중심으로 투자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