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제약사들은 보험약가 결정을 두고 서로 줄다리기가 잇따르고 있다.

제약사의 경우 개발비용 등을 이유로 높은 가격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보험재정과 환자 부담 증가와 이미 제네릭이 출시됐다는 등의 이유로 가격을 대폭 인하, 조정하고 있다.

제약사와 보험공단이 절충을 통해 적정한 선에서 가격 결정이 이루어지면 원만한 타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더 많이 받으려는 업체와 적게 주려는 정부의 이해 관계가 팽팽히 맞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약가협상 실패로 비급여 판정을 받은 종근당의 ‘플라빅스’ 개량신약 ‘프리그렐’이 보험급여를 재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측은 개량신약이라는 점을 부각시켜 오리지널 대비 68% 수준으로 결정을 요구하고 있다.

업계는 국내 제약사들의 강점인 개량신약 개발비 투자를 위해서도 오리지널과 비슷한 수준의 약가 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물론 정부는 같은 계열의 제네릭이 이미 출시된 마당에 개량신약이라도 높은 가격을 책정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렇다면 개량신약에 대한 적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다.

개량신약에 대한 임상 규정 등을 명확히 제시해야 제약사들도 이에 맞게 개발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자사도 신약에 대한 높은 약가를 요구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최근 한국BMS의 항암제 ‘스프라이셀’도 보험급여 결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회사측은 스프라이셀의 보험약가를 6만9000원에 원했으나 환자와 시민단체 등의 반발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가격으로 결정되면 연간 약가는 5000만원이 넘는다고 우려했다.

약제급여조정위원회는 최근 ‘스프라이셀’의 직권등재를 위한 논의를 벌였으나 아무런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제약사와 정부의 약가 결정을 밀고 당기는 가운데 진짜 피해자는 누구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보험약가 결정에 정부와 제약사들의 보다 유연한 협상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