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의료기관 폐쇄와 재개장 기준을 만들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최근 대한의사협회는 현행 의료기관 폐쇄와 재개 기준은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기준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협 최대집 코로나19 지역 확산으로 의료진과 의료기관이 확진자에게 노출되는 사례가 늘면서 다수 의료기관이 폐쇄돼 기존에 치료를 받고 있는 다른 환자 치료 일정까지 차질을 빚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되면서 다른 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았다가 진료를 거부당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최근 A씨는 자택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K 대학병원 응급실을 방문했지만 열이 있다는 이유로 진료를 거부당했다.

병원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우려된다면 A씨를 다른 K 대학병원으로 보냈지만 결국 9시간 만에 패혈증으로 사망했다.

환자 가족들은 코로나19를 이유를 진료를 받지 못해 살 수 있음에도 사망에 이르렀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병원 응급실은 말 그래도 응급 환자를 신속히 치료하기 위해 존재한다.

정부의 탁상행정이 이런 사고의 원인이다.

병원은 코로나 확진자가 나오면 최소 2주에서 20일까지 병원을 폐쇄해야 한다.

이 지침은 2015년 발생한 메르스 사태 당시에 만든 것이다.

이 기준을 코로나19에 적용돼, 병원들이 고열이거나 코로나19 의심 환자의 진료를 꺼리게 되는 이유이다.

감염병으로 인한 의료기관 폐쇄와 재개 기준은 과거 메르스 사태 지침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어 코로나19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의협은 일정 수준 이상 소독 조치 후에는 의료기관이 신속하게 진료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의협은 특히 상급종합병원 폐쇄와 진료 재개 관리 주체에서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하고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로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과거의 방역행정을 과감히 개선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