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종양내과학회 “실질적 혜택위해 제도개선 필요”

최근 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정밀의료로 변화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암 환자에게 실질적인 치료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왔다.

현실화를 위해 다른 질환에 식약처 허가를 득한 약제에 대해서는 빠른 사용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종양내과학회 김태유 이사장.
또한 국가 자원의 정밀의료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 공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김태유)가 20일 제 3회 항암치료의 날을 맞아 ‘암 치료의 미래, 정밀의학’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현재 의학의 발전에 따라 정밀진단을 위해 형성된 환자의 빅데이터, 즉 각종 인체 유래물과 유전체에서 얻은 정보는 개인의 질병, 예방 치료까지 모든 단계의 맞춤형으로 적용되고 있다.

김태유 이사장(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은 인사말을 통해 “암 치료의 최근 패러다임은 정밀의료로 바뀌고  있다”면서 “정밀의료의 도입과 정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정밀의료 ‘그림의 떡’→제도개선 필요

김지현 교수(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는 정밀의료의 발전이 암 환자에게 실질적인 치료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교수는 “한꺼번에 수백 가지 이상의 유전자 이상을 검사할 수 있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개인의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이상을 진단하고 이에 따라 맞춤치료를 시행하는 이른바 정밀의료의 시대가 열렸다”고 설명했다.

김지현 교수(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2017년 3월부터 10대 암에 대해 NGS 유전자 패널 검사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 됐으며,  올해 5월에는 전체 암종으로 범위가 확대로 암환자를 위한 검사의 접근성이 향상됐다.

그러나 검사 결과를 치료에 적용하는 과정에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검사 결과를 바로 치료에 적용하는 것은 현재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유전자 이상이 발견돼도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약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치료 약제가 있어도 해당 암종에 허가가 되어 있지 않아 비보험으로 치료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높아 그림의 떡인 상황이 많다”고 꼬집었다.

현실화를 위한 제언으로 다른 질환에 식약처 허가를 득한 약제에 대해서는 빠른 사용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그는 “허가 외 의약품 사용 프로세스 및 임상시험용 의약품 응급 사용 절차의 간소화 및 정부·학계·산업계가 공동 협력해 약물 공급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암 정밀의료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규제 완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국가 자원의 정밀의료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데이터 공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종양내과학회는 암치료를 위한 정밀의료의 현실화를 위해 암 정밀의료 네트워킹그룹(K-PM)을 발족했으며, 대한항암요법연구회와 함께 정밀의료 기반 암 진단 치료법 개발 사업단(K-MASTER)을 구축했다.

학회는 K-PM, K-MASTER 사업단을 통해 국내 정밀의료와 암 치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과 다학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