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가톨릭대 의대 공동 연구…최고 11.4배까지 위험

부모 중 어느 한 쪽이라도 근시일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높을 뿐 아니라, 둘 모두 근시면 이러한 위험이 더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부모의 근시 정도가 심할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욱 높아졌다.

삼성서울병원 안과 임동희 교수, 가톨릭대 의대 예방의학과 임현우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동안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이 해당 기간 2344가정에서 5세 이상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3862명과 부모의 시력 등을 종합한 결과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아이들의 64.6%인 2495명이 근시인 것으로 확인됐다. 마이너스(-) 0.5 디옵터(D) 이하 경도 근시인 경우는 1553명이었고, -3.0D 이하 중등도 근시는 734명, -6.0D 이하 고도 고시는 208명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부모의 굴절도수에 따라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부모 둘 다 근시이거나 근시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고, 근시가 심했다. 부모 둘 다 근시가 없을 때 (>-0.5 D) 자녀의 근시 비율은 57.4%으로 전체 평균 64.6%를 밑돌았으나, 부모가 근시가 있는 경우 68.2%로 평균을 넘어섰다.

부모가 시력이 가장 나쁜 고도 근시(-6.0D 이하)에 해당하면 자녀의 근시 비율은 87.5%로 껑충 뛰었다.

자녀의 근시 유병률비를 계산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부모 중 한 명만 -0.5D 이하라도 근시 유병률이 1.17배 높았다. 부모 둘 모두 -0.5D 이하면 1.34배로 높아졌다.

특히 -6.0D 이하 고도 근시에서 이러한 차이는 더욱 두드러져, 자녀에게서 고도 근시가 나타날 확률은 부모의 근시 정도에 따라 적게는 1.46배에서 많게는 11.41배까지 치솟았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데 대해 연구팀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연구팀은 “부모의 근시가 자녀의 근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그렇다고 예방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면서 “자녀의 시력 변화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전문의 검진과 함께 유해한 환경을 차단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