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혜숙 의원, 23.7% 혈액투석전문의·8.8% 응급장비 없어

<2018 보건복지부 국정감사>국내 만성신부전증 환자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혈액투석실 인력과 장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 등 관리기준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더불어민주당 전혜숙 국회의원(서울 광진갑)은 지난 11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혈액투석실 관리기준 미비한 실태를 지적했다.

전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해에 혈액투석을 받은 환자는 8만 7788명으로, 2011년 6만 2974명에서 39% 증가했다.

혈액투석기를 보유한 의료기관도 같은 기간 동안 770개 기관에서 993개로 22% 증가했고, 혈액투석 장비 수도 2만 5184대로 7년 전 1만 6986대에 비해 32%가 증가했다. 혈액투석 진료비 역시 2조 3730억원으로, 2011년 1조 4469억원에서 64%나 증가했다.

그러나 혈액투석실 운영 관리는 천차만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5차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 결과 보고’에 따르면, 평가대상 기관 799개 기관 중 23.7%에 해당하는 189개 기관에 혈액투석전문의가 없었다. 요양병원은 더 심각해 95개 평가대상 기관 중 58개 기관, 전체의 61%가 혈액투석전문의 없이 운영되고 있었다.

응급장비(산소공급장치, 심실제세동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평가대상 기관도 총 70개 기관으로 전체에 8.8%를 차지했다.

혈액투석을 받는 중 사망하는 환자의 47%, 복막투석을 받는 중 사망하는 환자의 46%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하는 만큼, 응급 상황에 대한 장비의 부재는 최소한의 안전장비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 의원은 "혈액투석실에 혈액투석전문의가 없어도, 응급환자를 되살릴 응급장비가 없어도 처벌할 규정 조차 없다"며 "혈액투석실을 설치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관리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혈액투석실에 대한 별도의 관리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