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헬스케어 산업에서 기술혁신을 보았고 디지털 기구들은 전 세계에서 사람들에게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치료를 가능케 하고 있다.

이런 디지털 혁신은 의료 제공자들에게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환자 결과를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는 원격의료, 스마트 병원, 인공 지능(AI) 등 잠재력이 있는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의 미래는 디지털 헬스에 틀림없이 의존할 것이지만 이런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인력도 필요하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원격의료를 위한 모바일 앱 개발이 활발하다.

그러나 우리는 의료민영화, 대기업 배불리기, 대형병원 쏠림현상 심화, 환자 안전 등을 우려한 반대 논리로 10년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혁신성장 확산을 위한 의료기기 분야 규제혁신 및 산업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앞으로 정부는 안전성 우려가 적은 의료기술은 ‘선 진입 후 평가’ 방식으로 대폭 혁신할 계획이다.

이번 적용되는 의료기기 산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 최첨단 기술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의료민영화 정책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혈당, 심박동 등 간단한 것은 원격으로 전문의가 체크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원격의료가 허용되지 않은 국내에서는 의사를 방문해야 한다.

국내 의료시스템은 어느 선진국과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잘 갖춰져 있다.

전 국민의 의료보험과 비급여의 급여 확대로 병원비가 저렴해 원격의료가 필요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예방을 위한 조치로 원격 스크리닝 시스템의 도입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이번 정부의 의료기기 규제 혁신이 얼마나 효력을 발휘할지 기대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