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A, 역류성 식도염 환자 240만 명 대상 연구결과 발표

국내에서 역류성식도염 치료제인 PPI제제(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장기 복용할 경우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PPI제제는 재발이 잦은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오메프라졸 등 8개 성분이 시판되고 있다.

해당 약물은 작용기전상 칼슘의 흡수를 방해해 골절을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해외 보고들을 통해 제기돼 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NECA)은 소화성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대상으로, PPI 사용으로 인한 골절 위험성 연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0년 동안 국내에서 소화성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선별하고, 50세 이상 환자 약 240만 명을 대상으로 PPI의 사용과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 여부를 파악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PPI 복용 기간이 길수록 복용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골절 발생 위험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PI를 30일 미만 복용한 환자의 경우 전혀 복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골절 위험이 8% 정도 높아졌으나, 60일 이상 90일 미만은 11%, 180일 이상 1년 미만은 18% 높아졌다. 특히 1년 이상 PPI를 복용한 환자는 42%나 골절 위험이 증가해 장기 복용의 위험성이 있음이 확인됐다.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은 골절 발생 전 1년 이내에 PPI를 복용할 확률이 30%나 더 높았다.

연령대별 골절 위험 차이 커…PPI 사용량 증가 추세

한 번이라도 PPI를 복용한 50대 환자의 경우, 복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골절 발생 위험이 9% 증가했고, 60대는 10%, 70대와 80대는 각각 13%, 18% 증가했다.

1년 이상 장기 복용한 환자의 연령대별 골절 위험 차이는 더 컸다. 골절 발생 확률이 50대는 54%, 80대 이상은 78%로 연령이 높을수록 장기 복용에 따른 골절 위험이 함께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소화성 궤양 및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약 3500만 명으로 집계돼 국민들의 상당수가 해당 질환을 경험했으며, 치료제 사용량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PPI의 경우 전체 소화성 궤양 치료제 중 약품비 비중이 2006년에는 22%(910억 원)였으나 2011년에는 32%(2660억 원)로 급증했다.

연구팀은 해당 질환의 만성적 특성으로 약물을 장기 복용하는 경우가 많고, 고령 환자들의 경우 골절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처방 시 환자의 약물 이력을 확인하는 등 주의를 당부했다.

연구책임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교수는 “의료진은 PPI 처방 시 반드시 환자의 누적 복용 기간을 확인하고, 복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처방을 지속할지 주의 깊게 판단해야 한다”면서 “특히 골절 위험이 높은 고령 및 골다공증 환자와 여러 만성질환을 동반한 환자들에게는 PPI 장기 복용의 위험성을 알리고, 골절 예방과 골다공증 관리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동 연구책임자 NECA 이진이 부연구위원은 “PPI의 장기간 복용과 골절 발생 위험에 관한 대한 국내 연구는 해외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라며 “이번 연구가 PPI에 대한 추가 연구의 시발점이 되기를 바라며, 의약품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