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병원에 축적된 방대한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약과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활용하는 등 바이오·헬스 산업 분야 활성화를 위한 각종 규제를 완화, 올해 1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2021년까지 전국 6개 병원을 대상으로 약 1000만 명의 전자의무기록·유전체·생체정보를 담은 ‘보안형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빅데이터는 신약 후보 물질 발굴과 주요 질병 예측 등에 사용한다.

병원이 보유한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기업에 넘기는 대신 병원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만 제공한다.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공공기관에 축적된 보건의료 빅데이터에는 환자들이 의료기관을 방문한 이유와 질병과 치료 내용, 처방받은 약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주체인 환자들은 이를 포괄적으로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환자가 진료정보를 요청하면 의료기관은 이를 제공하지만 여러 병원에서 받는 진료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통합된 정보를 받을 수 없다.

환자는 정확한 진료 정보를 의사와 공유해 최적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정보의 표준화가 시급하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로 환자는 의료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준화된 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환자 맞춤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환자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지 않도록 정부 주도의 디지털화된 의료 빅데이터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