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국회, 노령·소아환자 증가 우려…수가 등 개선책 제시

현재 만성 콩팥병으로 인한 투석환자가 10만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이들의 치료 및 관리체계에 대한 제도적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대한신장학회(이사장 김용수)와 대한소아신장학회(이사장 유기환)는 14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투석환자의 관리체계 구축 및 건강권 증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용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

김용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은 "고령화와 함께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만성콩팥병은 지속적으로 환자수 증가하고 있어 우리 사회의 큰 부담이 되는 대표적인 질환"이라며 "콩팥 기능은 한번 나빠지면 정상으로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하게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투석 치료나 이식수술을 필요로 하는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이식이나 투석환자수는 지난 30년간 34배나 증가해 전국에 10만명에 달하고 있다"며 "투석환자는 암환자보다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이쓰며 환자당 연간 투석비용도 약 3000만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콩팥은 한번 기능이 나빠지면 정상으로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선천적인 문제 등으로 콩팥 기능이 나빠진 소아·청소년 환자들은 콩팥 이식을 하거나 평생 투석 치료를 받아야 하는 고통속에 있다는 것이다.

콩팥 이식을 하게 되면 대부분의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영위할 수 있지만 뇌사자 콩팥 이식을 기다리는 이들이 많아 4년 이상을 기다려야 차례가 돌아오는 어려운 현실이다.

유기환 대한소아신장학회 이사장은 "말기신부전에 이른 소아·청소년 환자들도 어른과 같이 정기적으로 투석해야 하지만 어린이 투석이 가능한 병원은 전국에 몇 곳 되지 않는다"며 "때문에 대부분 매일 집에서 8~10시간씩 복막 투석 치료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기환 대한소아신장학회 이사장.
유 이사장은 "소아 투석은 성인에 비해 더 어렵고 합병증이 많아 숙련된 의료진과 집중적인 간호가 필요하지만 의료수가는 성인과 동일하다"며 "10세 미만 소아 투석이 가능한 병원은 현재 전국 6개 도시에만 있는 실정으로 소아 투석환자들이 '의료난민'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소아청소년 투석 환자와 가족들이 뇌사자 분배 원칙의 선진화, 신기술의 도입과 보험급여 적용, 현실적인 수가 정책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오제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콩팥병으로 인해 고생하는 환자가 단일상병 기준 전체 진료비의 2위 차지할 정도로 많다"며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령환자들이 대폭 증가하고 있고 소아신장환자들도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오랜 시간의 투석과 장기간의 치료로 인해 많은 경제부담과 의료재난을 겪고 있는데도 이에 대한 관리체계가 정립돼있지 않고 수가도 독립돼 있지 않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투석환자들에게 완전하고 적절한 관리체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좋은 방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하며 국회에서는 입법과 정부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