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매년 4%씩 증가…고관절 1년 후 사망률 11배 높아

5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골절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골다공증 환자의 약물 치료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관절 골절환자 1년 후 사망률이 일반인보다 무려 11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돼 골다공증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골대사학회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함께 2008년~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이용해 한국인의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및 관리양상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FACT sheet'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FACT sheet 결과에 따르면, 5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골절로 진단 받은 환자는 인구 1만명당 2008년 112.9명에서 2013년 140.1명으로 매년 4%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골절 부위별로 보면 2013년 기준 50세 이상에서 골절 발생률은 척추가 67.6명으로 가장 높았고 손목 48.2명, 고관절 18.3명, 위 팔뼈 7.8명 순이었고, 연령별로는 고연령으로 갈수록 척추( 70세 이후) 및 고관절 골절(80세 이후)의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했다.

위중도가 높은 고관절 골절 발생은 2008년에 2013년까지 남녀 모두 매년 7%씩 증가하는 추세로, 여성이 남성의 2.5배 정도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척추 골절의 발생은 2008년 6만 9972건에서 2013년 10만 9693건으로 매년 9%씩 증가했으며, 여성에서 남성보다 3.5배 많이 발생했다.

2008년이후 증가양상을 토대로 10년 후인 2025년의 골다공증 골절 발생 건수를 추정한 결과 고관절 골절은 1.4배, 척추골절은 1.4배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골다공증 골절 관련 총의료비 역시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고관절 골절이 919만원으로 척추골절의 499.5만원의 2배에 달했다.

골다공증 골절 발생건수와 발생률(2008-2013).
고관절·척추 골절로 인한 사망률 및 치료율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내 사망률은 남성이 21.0%로 여성 14.8%보다 1.4배 높았고, 척추골절 후 1년 내 사망률도 남성이 13.6%, 여성이 6.2%로 남성이 2.2배 높았다.

고관절 골절 후 사망률은 기간별로 분석하면 골절 후 첫 3개월이 가장 높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띄며 1년 이후에는 안정되는 양상이었다.

50세 이상 인구의 기대 사망률을 보정한 사망비(SMR)는 고관절 골절 1년 후 사망률이 일반인구보다 남성에서 11.9배, 여성에서 11.2배로 증가해 다른 부위 골절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척추골절 1년 후에는 남성은 7.76배, 여성은 4.7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남성에서 1.6배 더 높았다.

반면, 2011년 건강보험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골다공증 관련 의료이용을 한 환자는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지역사회 골다공증 유병자 조사결과와 비교 시 6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골다공증 환자의 약물 치료율은 여성이 36%, 남성이 16%로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에 비하면 약물치료율이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었다.

특히 재골절의 위험이 높은 골절 발생 환자의 경우는 6개월 이내 약물 치료율이 전체 41%인데 비해 50대는 14%에 머물렀다.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도 6개월안에 중단하는 경우가 39% 이고, 1년 이상 복용하는 경우는 24% 정도에 불과했다.

학회 관계자는 "골절예방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약물치료"라며 "국내에는 이미 골절감소 효과가 입증된 약제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약시 평균 38% 골절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주요 외국은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율이 감소추세로 돌아서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선진국의 경우 골절 발생 후 '재골절 예방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한 환자 관리로 재골절 예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