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연구팀, T세포의 암세포 공격 활성화 매커니즘 확인

▲허용석 교수

면역 세포의 암세포 공격을 활성화시키는 면역항암제의 작동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건국대학교 화학과 허용석 교수 연구팀은 최근 면역체계에 의한 암세포 파괴를 방해하는 면역 체크포인트(immune checkpoint) 단백질과 면역항암제들의 복합체 결정 구조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면역 체크포인트 단백질인 PD-1, PD-L1, CTLA-4와 면역항암제들이 결합한 단백질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X-선 결정학적 방법으로 규명해 면역항암제가 면역 세포의 암세포 공격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메커니즘을 원자 수준에서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다르기 때문에 면역세포인 T세포에 의해 인식되어 파괴된다.

하지만 암세포는 면역회피를 담당하는 면역 체크포인트 단백질인 PD-1, PD-L1, CTLA-4를 이용해 T세포의 공격을 피해나갈 수가 있다.

인체의 면역체계 내에서 암세포가 살아남고 증식할 수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고 면역 체크포인트 단백질을 찾아내어 암세포의 면역회피 기능을 마비시킨다.

면역회피 기능이 마비된 암세포는 T세포에 쉽게 노출돼 제거된다.

암세포의 PD-L1이 T세포의 PD-1과 결합하면 T세포에게 암세포를 공격하지 말라는 면역회피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투여된 면역 항암제가 PD-L1과 PD-1의 결합부위에 미리 달라붙어 면역회피 신호를 차단시킨다.

면역회피 신호를 받지 않은 T세포는 암세포를 제거한다.

면역항암제가 T세포의 CTLA-4에 결합하면 암세포와 T세포가 접근할 수 없게 돼 면역학적 시냅스가 형성되지 못한다.

때문에 면역회피 신호를 받지 않은 T세포가 암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허용석 교수는 “이번 성과는 면역항암제 효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중요한 분자 구조적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어 “기존의 항체의약품의 매우 높은 생산단가와 불편한 투약 방법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저분자 합성의약품 형태의 면역항암제 발굴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허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결합 부위와 결합 방식이 서로 다른 면역항암제들을 조합해 암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지에 10월31일자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