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 임선희 교수, 네이처지에 소개

임선희 교수
국내 연구진에 의해 인간의 19번 염색체가 완전 해독됐다.

동아대학교 임선희 교수(자연과학부 생명공학전공)는 새로운 유전자 해석 기법을 적용, 그동안 미지의 영역으로 남겨진 인간의 19번 염색체 미해독 부분의 해석에 성공했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최고 권위의 과학저널 네이처지 4월호 생명과학분야에 소개됐다.

인간 19번 염색체는 생물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다른 염색체에 비해 2 배 이상의 높은 유전자 밀도를 나타내고, 당뇨병 등과 관련된 유전자, 환경오염 물질에 노출된 후의 DNA 회복을 관장하는 유전자등 1,500개의 비교적 많은 유전자를 포함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에는 미국 에너지성과 스탠퍼드 대학 휴먼게놈팀 등 9 개의 연구 그룹에서 연구자 수백 명이 참가했으며, 이 연구에서 동아대의 임 교수는 대장균을 이용한 기존의 박테리아 인공염색체(BAC) 분석법 대신 새로운 효모를 이용한 새로운 기법(TAR: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으로서 19번 염색체에 남아있는 갭 부분의 염색체 영역을 모두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함으로써 갭으로 남아있는 DNA 염기서열의 구조적 특성을밝혀냈다.

이는 게놈프로젝트 최초로 원형의 YAC DNA를 효모로부터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가장 완벽하게 밝힌 최초의 성과를 평가받고 있다.

또한 각 갭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뒤에 그 특성들을 생물정보학적으로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유전자를 확인한 결과 19번 염색체의 각 유전자에는 다른 영역과 달리 고밀도의 반복서열이 확인되었고 DNA typing이나 친자확인 등의 표적 유전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3 개의 유전자도 확인됐다.

또한 이 갭 부분의 염기서열은 대장균 내에서는 불안정하지만, 효모 내에서는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어 새로운 방법의 도입만이 유전체 연구의 완성을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연구결과는 완전 해독되지 않은 나머지 23개 염색체의 갭을 메울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